|
 |
|
|
|
|
|
|
|
|
 |
|
|
|
(매일경제) 국가상징물, 법으로 제정해 보존하자 |
4019
HIT
|
|
|
|
[독자 칼럼] 국가상징물, 법으로 제정해 보존하자
|
기사입력 2016.09.05 17:06:13 | 최종수정 2016.09.05 17:29:14 |
|
|
물질문명과 정신문화가 수레의 두 바퀴처럼 상호 보완과 균형을 이룰 때 국가는 참다운 발전을 한다. 세계를 제패한 몽골·오스만제국 등이 지구상에서 사라진 것은 정신문화가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정신문화연구원을 창설(1978년)했지만 연구 부재로 27년 만에 한국학연구원으로 바뀌었다. 당시 국가정신문화는 `국적교육, 충효사상, 호국문화` 세 가지였다.
국가상징물은 역사·문화·사상이 스며들어 국민 합의로 만들어지는 그림·문자·도형 등으로 나타낸 공식적인 징표다. 외면적으로는 `국제사회에 국가 존재`를 알리고, 내면적으로는 `사회의 도덕적 혼란 방지와 국민통합을 유도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는 이념과 지역, 연령과 신분의 고하, 빈부 격차를 떠나 그 나라 국민이면 누구나 공감해 하나가 되는 `최고의 영속적인 가치`다. 국민통합은 화합과 조화를 기초로 한 `규범적 사회통합`을 지향하며, 사회의 도덕적 혼란 예방을 통한 문화의 지속성 보장으로 `국가의 영속성`을 도모한다.
이처럼 국가상징물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이 큼에도 불구하고 `규율하는 법률`이 없어 국가 이미지 제고와 국민통합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유일한 이념분단국인 데다 도덕적 혼란과 민주적 다양성에서 생기는 갈등이 심각해 국민통합이 절실하다.
국가상징물의 기본 취지를 충족시키는 방안은 인간 본능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좋아하고, 생각하고, 노래하고, 겨루고, 즐기고, 그리며, 이루는 7개 과정은 생물, 철학, 음악, 체육, 문화, 미술, 건축 등 7개 학문 분야다. 우리나라 국가상징물을 7개 과정에 도입하면 무궁화(민족화), 태극기(건국화), 애국가(산업화), 태권도(세계화), 한국어(국격화), 해륙국(민주화), 선통상(선진화) 단계다.
이 같은 7대 국가상징물을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통성 정립에 활용하기 위해 관련 법을 제정하고, 예하 조직을 갖추는 것이 필수다. 국가 정신문화 확립의 체계적인 뒷받침을 위해 국가상징물 심의위원회와 국가상징물의 날 지정, 전담기관 설립 등이 이뤄진다면 국민통합을 위한 확고한 구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국가상징물 관련 법이 제정되면 또 하나의 한류로 대한민국 위상이 높아질 것이다. 7대 국가상징물 도입은 자유민주국가의 존엄성과 선진통일국가의 확립을 국가목표로 설정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국가정신문화 지속은 물질만능 사회의 도덕적 혼란 예방과 국민통합을 유도해 국가의 영속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김원길 국가상징물연구가] (2016.9.6 매일경제 A섹션33면3단) |
|
|
|
DATE : 16-09-06 18:01 | NAME : 관리자 |
|
|
|
|
|
|
|
|
|
|
|
|
|
|